종회상징 및 가훈
종 회 상 징
한자의 안(安)자를 형사화 하였다. 심볼이 상징하는 뜻은 천지인(天地人)을 바탕으로 위의 원은 우주를 향하여 뻗어가는 우리의 미래상을 제히하였고, 가운데 타원은 우리 50만 종원이 한울타리로 결속하여 상부상조 하자는 의미를 지녔다. 그리고 아래 일(一)은 생명의 모태인 땅을 상징하고 있다.
|
順 興 安 氏 家 訓 (순흥안씨 가훈)
친척(親戚)과 화목(和睦)하라. 처음에는 한 사람 같던 몸이 남처럼 되었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몹시 통탄(痛嘆)할 말이다. 친족이 남처럼 되었다면 그것은 서로 잊어버릴 지경이 된 것이 아니겠는가? 선조의 입장에서 이를 본다면 다 같이 귀여운 손자 같을 것인데, 어찌 소원(疎遠)하게 대할 것인가? 갈래가 비록 다르더라도 핏줄이 서로 이어지고, 사는 곳이 비록 떨어져 있더라도 소식이 서로 닿아서, 일 년에 한번이라도 와서 한 뜰에 모이게 되면 효도하고 공경하는 마음이 저절로 일어날 것이니, 마땅히 돈독하고 사랑하는데 힘쓰고, 화목하고 공경하는 마음으로 만나고, 정성껏 대접하고, 장점을 모아 단점을 보완하고, 어두운 점을 밝혀주고, 근심스러운 것을 도와주고, 멀어지는 것은 가엾게 생각하고, 어리석은 것을 불쌍히 여기고, 일가친척을 평등하게 사랑하고, 우리 선조의 지극한 뜻을 받들도록 해서, 옛날부터 안 씨는 친족 간에 화목하다는 칭찬(稱讚)이 다시 오늘에 들리도록 하라. 힘쓰고 또 힘쓰라.
|
▼ 순흥안씨 가훈 표지석
(경북 영주시 순흥면 추원단 소재)
취우정 선생 전수 가훈 10조
1. 忠孝(충효) : 충성과 효도를 다하라. 2. 誠敬(성경) : 진실한 마음가짐으로 공경하라. 3. 敦尙文學(돈상문학) : 학문을 숭상하라. 4. 隆師親友(융사친우) : 스승을 높이 받들고 벗과 친하게 지내라. 5. 睦婣任恤(목인임휼) : 친족간에 화목하고 어려움을 구하라. 6. 見得思儀(견득사의) : 눈앞에 얻는 것이 있거든 먼저 의로운가를 생각하라. 7. 戒愼幽獨(계신유독) : 홀로 있을 때 경계하고 조심하라. 8. 端整衣冠(단정의관) : 몸가짐을 단정히 하라. 9. 財無苟求(재무구구) : 재물을 구차하게 구하려 하지 말라. 10. 難無苟免(난무구면) : 어려움을 구차하게 면하려 하지 말라
|
▼ 취우정 가훈 10조 표지석
(경남 함안군 가야읍 신암서원 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