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회약사
연 도 |
내 용 |
1170~1180 고려 의종24- 명종10 |
⊙ 시조 상호군공 휘 자미 순흥에서 탄생 추정. 흥위위 보승별장, 신호위 상호군에 추봉 - 1654년 순원군 응창(應昌)이 처음 설단, - 1988년 추원단 이설, 매년 음력 10/1 세사 |
1201 신종4 |
⊙ 1파 파조 밀직공 영유(永儒) 탄생 - 추밀원부사와 상호군에 추봉 - 묘소 부석면 감곡리 지장산, 재실 영모암 |
1202-1205 신종5-희종1 |
⊙ 2파 파조 별장공 영린(永麟) 탄생 추정 - 신기별장을 역임하시고 밀직부사에 추봉 |
1203-1207 신종6-희종3 |
⊙ 3파 파조 전리정랑공 영화(永和) 탄생 추정 - 생졸연대와 배위 묘소는 실전(추원단에 모심) |
1220 고종7 |
⊙ 1파 3세 태사공 부(孚) 탄생. - 1244년에 문과 등제 수태사문하시중에 추봉 |
1225 고종12 |
⊙ 3파 3세 낭중공 득재(得財) 탄생 추정. - 묘소, 배위 실전, 추원단에 모심 |
1228 고종15 |
⊙ 검교공 휘 득인(得仁) 탄생 추정 |
1243 고종30 |
⊙ 1파 4세 향(珦) 탄생, 시호 문성(文成). - 수문전태학사, 벽상삼중대광 도첨의중찬 - 우리나라에 최초로 주자학을 도입 - 충렬왕 32년(1306) 9월12일 향년 64세 서거 |
1245~1250 고종32 |
⊙ 3파 4세 판전공 희서(希諝) 탄생 추정. - 배위 묘소는 실전, 추원단에 모심 |
1265 원종6 |
⊙ 1파 5세 찬성공 우기(于器) 탄생 - 충렬왕 8년 임자(1282)문과에 급제 - 묘소 장단 대덕산 선영(묘지명 문정공 안축 찬) |
1260~1267 원종1~원종8 |
⊙ 3파 5세 제학 석(碩) 탄생 추정 - 은덕불사, 1282년 문과 둥재 - 밀직제학공 봉익대부 추봉 - 1592년(선조25) 사촌공 덕린이 실전 묘소를 찾고 1607년 묘비를 세움. |
1273 원종14 |
⊙ 2파 5세 안문개(文凱) 탄생, 시호 문의(文懿). - 1336년 삼중대광 좌의정과 문하시도첨의찬성사 - 1338년 충숙왕 7년 8월 향년 66세로 서거 |
1280 충렬6 |
⊙ 판전공 휘 헌(軒) 탄생 추정 |
1282 충렬8 |
⊙ 문정공 안축(軸) 탄생. 근재 시호 문정(文貞). - 찬성사대제학 감춘추관사 흥녕군 - 1348년 6/21서거(가정 이곡 묘지명 찬) - 장지는 장단군 진서현 대덕산 도솔암 해좌 - 배위 감천군부인문씨(단산면 병산리 소재) |
1302 충렬28 |
⊙ 문경공 보(輔) 탄생. 문과등제(1320년) - 소수서원에 향배, 추원단 봉제 |
1306충렬32 |
⊙ 문성공 휘 향(珦) 졸 |
1303~1308 충렬29~충렬34 |
⊙ 좨주공 집(輯) 탄생 추정. 호 성재 -수충보리공신, 삼중대광 순흥군 보문각 대제학 성균관 좨주 |
1310 충선2 |
⊙ 제학공 휘 석(碩) 졸 추정 |
1307 충렬33 |
⊙ 문정공 휘 축(軸) 문과 급제 |
1318 충숙5 |
⊙ 문성공 향 초상화 왕명으로 모사 - 문묘와 흥주향교에 봉안(국보 제111호) |
1319 충숙6 |
⊙ 문성공 향 문묘에 배향 |
1320 충숙7 |
⊙ 문경공 휘 축(軸) 문과 급제 |
1320 충숙7 |
⊙ 좨주공 휘 집(輯) 문과 급제 |
1324 충숙11 |
⊙ 문정공 축 원나라 문과 장원급제 |
1325 충숙12 |
⊙ 3파 7세 문간공 종원(宗源) 탄생. - 삼중대광 특진보국숭록대부 판문하부사 - 1394년 3월 24일 수 70에 서거 |
1331 충혜1 |
⊙ 문정공 封爵 |
1341 충혜2 |
⊙ 문간공 휘 종원(宗源) 문과 급제 |
1347 충목3 |
⊙ 3파 8세 양도공(良度公) 경공(景恭) 탄생. - 판한성부사 숭정대부 집현전 대제학 부원군 |
1348 충목4 |
⊙ 문정공 휘 축(軸) 졸 |
1355 공민4 |
⊙ 문정공 배위 감천군부인 문씨 별세 |
1357 공민6 |
⊙ 문경공 보(輔) 졸 |
1359 공민8 |
⊙ 제학공 배위 흥녕군부인 안씨 졸 추정 |
1364 공민13 |
⊙ 덕봉공 후 질(耋) 탄생 |
1365 공민14 |
⊙ 양도공 휘 경공(景恭) 사마시 급제 |
1371 공민20 |
⊙ 3파 9세 정숙공 순(純) 탄생 |
1376 우왕2 |
⊙ 양도공 안경공 문과 급제 |
1389 창왕1 |
⊙ 정숙공 순(純) 18세로 문과급제(고려 마지막 등과) |
1392 조선태조1 |
⊙ 이성계 조선 건국 ⊙ 양도공 안경공 개국 공신 녹훈, 초대 도승지 ⊙ 문숙공 숭선(崇善) 탄생, 1452년 별세 - 1420년 문과 장원급제 - 지신사, 대사헌, 예조 형조 병조판서, 좌참찬 |
1394 태조3 |
⊙ 문간공 휘 종원(宗源) 졸 |
1395 태조4 |
⊙ 소윤공 숭신(崇信) 탄생 - 1441년 별세, 1965년 종손 치호 묘표 발견 - 1989년 양도공 선영 위에 합폄 |
1401 태종1 |
⊙ 문간공 종원 묘소 임진현 서국동에서 봉화 문단으로 천장 (2008년 단산면 제학공 묘역으로 천장) |
1400 정종2 |
⊙ 대사헌공 숭효(崇孝) 탄생 추정 - 호조, 형조, 공조 참판, 대사헌, 3도 관찰사 - 1460년 충청도 감영에서 별세 - 배위 한산이씨, 정숙공 계하에 합폄묘 |
1408 태종8 |
⊙ 문간공 배위 경혜택주(慶惠宅主) 광주 김씨 졸 |
1411 태종11 |
⊙ 문숙공 휘 숭선(崇善) 사마시에 급제 |
1420 세종2 |
⊙ 문숙공 휘 숭선(崇善) 문과 급제 |
1420 세종2 |
⊙ 양도공 경공(景恭) 음1월 10일 별세, - 예장으로 모시고 불천지위 부조지전을 받음. |
1421 세종3 |
⊙ 참의공 훈(訓) 탄생, 1470년 별세 - 상의원정, 대호군, 이조 참의 증직 |
1423 세종5 |
⊙ 참판공 의(誼) 탄생, 1468년 별세 - 연안부사, 성주목사, 병마절제사, 이조참판 증직 |
1435 세종17 |
⊙ 양도공 경공 신도비 건수(윤회 찬, 안숭선 친서) ⊙ 정숙공 배위 정경부인(貞敬夫人) 청성정씨(淸城鄭氏) 졸 |
1439 세종21 |
⊙ 은덕재 창건 |
1440 세종22 |
⊙ 정숙공 순(純) 11월28일 별세. |
1441 세종23 |
⊙ 소윤공 휘 숭신(崇信) 졸 ⊙ 이천공 휘 우삼(友參) 졸 |
1445 세종27 |
⊙ 문숙공께서 관동와주집 중간 |
1446 세종28 |
⊙ 형참공 휘 우건(友騫) 탄생 ⊙ 회양공 휘 해(該) 탄생 |
1447 세종29 |
⊙ 덕봉공 휘 질(耋) 졸 |
1452 문종2 |
⊙ 문숙공 휘 숭선(崇善) 졸 |
1457 세조3 |
⊙ 정축지변(금성대군의 단종 복위운동 실패) - 순흥안씨 피화, 종족문화 유산 유실 |
1458 세조4 |
⊙ 판서공 휘 우하(友夏) 탄생 |
1460 세조6 |
⊙ 대사헌공 휘 숭효(崇孝) 졸 |
1468 세조14 |
⊙ 참판공 휘 의(誼) 졸 |
1470 성종1 |
⊙ 참의공 휘 훈(訓) 졸 |
1479 성종10 |
⊙ 판서공 휘 우하(友夏) 문과급제 |
1483 성종14 |
⊙ 관찰사공 휘 오상(五常) 탄생 |
1509 중종4 |
⊙ 회양공 휘 해(該) 졸 추정 |
1518 중종13 |
⊙ 정민공 당(瑭)자제 3형제(처근, 처겸, 처함)과 안정(安珽)등 4명이 동시 문과에 급제 - 1521년 신사무옥 발생 안당 부자 등 일가 피화 |
1519 중종14 |
⊙ 기묘사화 (기묘명현 안관의 남하) ⊙ 사과공(안요) 산본에서 황간으로 입향 |
1531 중종26 |
⊙ 문정공파 후손 충주, 함안, 평해로 남하 - 1548년 3월 한림공 명세 피화 다시 안문 분산 |
1542 중종37 |
⊙ 군수 주세붕이 순흥 백운동에 회헌사를 건립(백운동서원) - 주자학 태두 문성공 안향 봉향 |
1543 중종38 |
⊙ 백운동서원 창건(주세붕), 회헌사를 이건 - 1544년 문정공 축(軸) 문경공 보(輔) 서원 배향 |
1544 중종39 |
⊙ 문정공, 문경공 양위분 소수서원에 배향 |
1545 인종1 |
⊙ 풍기군수 주세붕, 사현정 명명 - 1656년 순원군 보수, 1821년에 목사공 비각 영건 - 1939년 중수, 1985년 사현정기적비 건립 |
1546 명종1 |
⊙ 문희공 현(玹) 주간 대구에서 대동보 창간(병오보) - 1659년 기해보 창간(응창주관, 6권1질, 의성) ⊙ 풍기군수 주세붕, 사현정 비석 세움. - 1656년 순원군(응창) 비석 중건, - 1821년 안성연 비각세움(1986년 12월 11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69호로 지정) |
1548 명종3 |
⊙ 한림공 휘 명세(名世) 피화 (1544년 문과 급제). - 1570년 복직 증직(홍문관직제학 춘추관 정3품) |
1550 명종5 |
⊙ 사액 백운서원 명종친필로 소수서원으로 개호(최초의 사액서원) |
1558 명종13 |
⊙ 영천군수 안상(安瑺) 1파조 추밀공 재사 영모암 건축 - 2015년 순흥안씨1파종회에서 중건 |
1572 선조5 |
⊙ 문간공 현(玹) 아우 상(瑺)이 금보 악보창간 ⊙ 시조 유허단(遺墟壇) 병설, 세사비 건수 (향려단) |
1607 선조40 |
⊙ 제학공 석 묘소 묘표 건수(외후손 오운) - 1613 외후손 오운 주간으로 문간공 표.석 건수 |
1624 인조2 |
⊙ 부조묘 위패를 서울 흑석동에서 별좌공 휘 상문(尙文)의 배위 연안 김씨가 보은으로 모심(추정) |
1633 인조11 |
⊙ 문민공 주세붕 소수서원 추배 |
1654 효종5 |
⊙ 향려단 창설(석교리 203, 18세 응창), 1655년 추원재 건립 |
1659 효종10 |
⊙ 순원군 휘 응창(應昌) 주간으로 족보2차 간행(기해보) |
1765 영조41 |
⊙ 족보 3차 간행 14권(을유보) |
1780 정조4 |
⊙ 신암서원 창건 (13세 취우정 안관 배향) |
1797 정조21 |
⊙ 족보 4차 간행 19권(정사보) |
1821 순조21 |
⊙ 목사공 휘 성연(性淵) 주간으로 사현정비각 건조 |
1824 순조24 |
⊙ 계담사 창건 (14세 한림공 안명세 배향) ⊙ 족보 5차 간행(갑신보) |
1825 순조25 |
⊙ 대산단 휘 기명(其命), 환(煥) 주간으로 건수 |
1830 순조30 |
⊙ 족보 6차 간행(경인보) |
1845 헌종11 |
⊙ 족보 7차 간행(을사보) |
1865 고종2 |
⊙ 족보 8차 간행(을축보) |
1868 고종5 |
⊙ 족보 9차 간행(무진보) |
1874 고종11 |
⊙ 족보 10차 간행(갑술보) |
1900 광무4 |
⊙ 부조묘 보은에서 영동으로 이건, 족보 11차 간행(경자보) |
1903 광무7 |
⊙ 족보 12차 간행 계묘보(癸卯譜) 휘 혁중(赫中) 주간 |
1909 융희3 |
⊙ 안중근 의사 의거(하얼빈에서 이토사살) |
1923 |
⊙ 양도공부조묘 보은에서 황간 옥전으로 이건 |
1939 |
⊙ 추모재 건립 |
1948 |
⊙ 삼안친목회 발족(창경궁, 초대회장 민세 안재홍) |
1956 |
⊙ 양도공 위패 영동군 황간면 옥전리에서 시흥 부조묘로 이안 |
1959 |
⊙ 은덕재 건수 |
1961 |
⊙ 아래 토지 취득 -경북 봉하읍 문단리 398, 423, 423-1 -경북 영주시 순흥면 석교리 188-1, 527, 206-2 |
1966 |
⊙ 순흥안씨양도공파종회 창립(초대회장 안동준) ⊙ 대산단 세사단 이건 ⊙ 소윤공 안숭신(安崇信) 묘 발견 이장 |
1972 |
⊙ 양도공종회 3대회장 상억(商檍)회장 취임 |
1973 |
⊙ 취우정선생 실기 중간(함안) |
1974 |
⊙ 시흥동 산126-1, 산126-7, 산126-10, 산126-13:서울고법 소유권일부 말소 확정 판결 - 소유권이전등기 |
1975 |
⊙ 양도공종회 4대 회장에 동준(東濬)국회의원 취임(4~12대 회장 역임) ⊙ 아래 토지에 대한 종회 명의 소유권 보존 등기(전 소유자: 안ㅇㅇ) -금천구 시흥동 54-2, 55, 56, 57, 59, 806-25, 808-6, 808-23, 808-26 |
1977 |
⊙ 종토 일부 매각하여 서울 용산 건물 매입(대지 340.50㎡, 726.01㎡) -건물 종회사무실로 이용 |
1979 |
⊙ 족보 기미보 발간 |
1980 |
⊙ 경북 봉화군 봉화읍 문단리 1031 토지(답) 취득 |
1981 |
⊙ 문간공 종원묘소, 양도공 경공 묘소 신도비 재건 ⊙ 아래 토지 취득 -경북 봉화군 봉화읍 문단리 산156, 산183, 422 -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리 산20, 산21, 산21-6, 산21-8, 산21-9, 199-1, 199-2, 201, 204, 240-2, 224, 225, 240-1, 241-1 -경북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 84, 85, 249 |
1982 |
⊙ 서울 봉천11동 건물 매입, 종회 사무실 이전 ⊙ 시흥동 806-1(3,328.40㎡), 806-25(158.50㎡) 매각 |
1983 |
⊙ 순흥안씨화수회 발족 (10/16 대종회 전신) ⊙ 종원 연수원 창설 ⊙ 시흥동 812(2,089.10㎡), 813(2,272.10㎡) 매각 |
1984 |
⊙ 서울 봉천6동 건물 매입(조흥은행 경매 물건) ⊙ 순흥안씨3파종보 창간 (2021년 제39호 발간) |
1986 |
⊙ 사현정: 경상북도 기념물 제69호로 지정 ⊙ 사현정 장학사업 개시 (4년제대학 입학축하금 지급) ⊙ 양도공묘 및 사패기지비 건립 |
1988 |
⊙ 순흥안씨추원단 건립. (1997년 추원재 중건, 1999년 전사청 건립) ⊙ 제5회 종원연수교육실시(8/13~8/16, 43명) -충북 괴산군 감물면 이담리 충주파 종회관 ⊙ 사현정 정비 ⊙ 아래 토지 매입 -경북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 252-1, 252-2 -충북 괴산군 감물면 구월리 산88-1외 13필지 ⊙ 시흥동 852-55(424.40㎡) 매각 |
1989 |
⊙ 시흥동 산126-9, 산126-11,산126-12, 시흥동 47-5, 47-8(13,309㎡,4,025평): 시흥종산 학교용지로 수용 ⊙ 문숙공 숭선(崇善) 묘 파주에서 양도공 묘역 이장 ⊙ 제6회 종원연수교육실시(8/12~8/15, 47명) -경북 울진군 기성면 척산리 화수정 ⊙ 의성공, 마전공 분묘이장(89.03.05) |
1990 |
⊙ 양도공 묘역,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4호로 지정 -1990. 6. 18자 관보발표 확정 -묘역 45,900평, 묘 5기, 신도비 5개, 문무관석 12개, 장명등 5개, 묘전비 6개, 상석 5개, 사당 1동 ⊙ 경북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 252-3(답, 181.00㎡) -읍내리 252-1 중 일부를 분할하여 마을주민에게 증여 ⊙ 제7회 종원연수교육실시(8/12~8/15, 45명) -경남 함안군 취우정 및 경북 순흥 관향지에서 실시 ⊙ 양도공묘역문화재 성역화사업 계획 수립 ⊙ 양도공묘역 묘소 5기 도래석 제거 및 잔디 부식(扶植) |
1991 |
⊙ 양도공부조묘 준공 낙성 (서울 금천구 시흥동) -90.6.30: 기본계획 수립 -90.12. : 서울특별시 허가 -91. 1. : 시공업체 선정 - 경기도 소재 동일건설(주) -91. 3. 7: 기공식 거행 -91. 8.20: 상량식 거행 -91.11. 8: 낙성식 거행(양도공 추향제일) ⊙ 양도공묘역 정비 공사 실시 -묘역 관통 배수로 2곳(400m) 석축 쌓기 -산사태방지를 위한 사방석축 7개소 축조 -진입로와 주차장 개설 포장, 주변 자연석석축공사, 관상수 심기 -묘역 울타리용 철망 설치 ⊙ 순흥안씨제3파보감 출판(2,400부) ⊙ 양도공파종회 지원과 헌금으로 계담서원 복원 ⊙ 소윤공 평해파, 비산단(飛山壇) 설단 ⊙ 문정공 유적비 건수(평해 월송정) ⊙ 순흥안씨제3파종회 발족(초대회장 안동준) ⊙ 계담서원 복원(양도공파종회 지원) ⊙ 제8회 종원연수교육실시(8/10~8/13, 38명) -충남 아산군 신창과 순흥 관향지에서 실시 ⊙ 순흥 사현정 주변 조경 및 기적비 건립(비문 동준회장 작성) |
1992 |
⊙ 양도공부조묘 유허비 건수( 보은읍 길상리 관동) ⊙ 경남 함안군 신암서원 기공식(3/5), 상량식(6/3) 거행 ⊙ 제9회 종원연수교육실시(3박 4일, 49명) -경기도 성남시 심곡동(한림공파 세거지) 효성학원에서 실시 ⊙ 순흥안씨전국화수회 중앙회 현판식 거행(10/7)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샹제리제빌딩 17층(나산실업) ⊙ 양도공 부조묘 중건 낙성 송축시집 발간 -부조묘 송축시 585수와 기타 관계 문헌 수록한 시집(2,000부) ⊙ “순흥안씨 약사“ 보급: 갑준 부회장 집필 |
1993 |
⊙ 보은 양도공 부조묘 유허비 건립 ⊙ 양도공파종회 지원과 헌금 8억원으로 함안 신암서원 준공 ⊙ 황간 무첨재, 충청북도 지방문화재 지정 ⊙ 양도공 부조묘 유허비 건립(영동 매곡 옥전) ⊙ 시흥묘역앞 주민들이 문화재 보호구역 설정에 항의하여 석물, 건물 등을 크게 훼손하는 등 난동 시위 ⊙ 양도공 묘역 주위 철망 650미터 설치 완료 |
1994 |
⊙ 근재집(우리말 번역) 발간(길준, 병태 주관) 1,000부 ⊙ 정문(부원군문)과 협문(택주문) 준공(1/7) ⊙ 죽백장학금 전달식 거행(71명) ⊙ 시흥묘역 앞 가옥 3동 건축 -시흥동 808-6(174.61㎡), 808-23(206.97㎡), 808-26(208.08㎡) ⊙ 아래 토지 매각 -시흥동 807-1, 807-2, 807-3, 807-4, 807-5, 807-7(6필지, 2,997.69㎡, 906.80평) ⊙ 시흥동 산126-13(임야, 123.00㎡) 노인정건립지로 구로구청앞 기증 ⊙ 종손가 신축, 이사 완료 ⊙ 화수회정기총회에서 대종회발기 결의, 준비위 구성 ⊙ 종원연수교육실시(8/7): 용안공파 예산 종중에서 실시 ⊙ 순흥 및 단산 소재 종회 위토: 3파 종회명의로 변경 완료 |
1995 |
⊙ 추모재 이전 건립(시흥 양도공 묘역) ⊙ 종회사무실 봉천11동에서 시흥동 808-23으로 이전 ⊙ 은덕학사 및 재실 겸 회관 기공식 거행(5/9) ⊙ 시흥동 807-15 건물(243.60㎡) 소유권 보존 등기 ⊙ 은덕장학금 지급(87명) ⊙ 부산 거주 취우정 종원 연수교육 실시(6/18, 함안 신암서원) ⊙ 추원재 및 관리사 건립, 준공 낙성식(11/25) |
1996 |
⊙ 봉모재 중수공사 완공(9/17) ⊙ “양도공3대영원비“ 경내 건립 -동준회장 양도공종회 40년봉직 기념하여 사비로 건립 ⊙ 순흥안씨 3파 족보 병자보 발간 ⊙ 장학금 지급 및 연수교육 실시(7/2~7/4, 116명) |
1997 |
⊙ 순흥안씨대종회 발족(12/22, 재건총회, 회장 안응모) ⊙ 은덕장학금 지급 및 연수교육 실시(7/1, 110명) ⊙ 문정공시비 건립 위치 결정차 낙산사 방문(11/30) |
1998 |
⊙ 구로 케이블TV에서 묘역 촬영 방영(1/20) ⊙ 문성공에 관한 학술 발표회 개최(2/26, 성균관) ⊙ 순흥안씨대종회 현판식 거행(7/8, 필동 1파종회 사무실 건물) ⊙ 낙산사에 문정공 근재선생 시비 건립 ⊙ 문정공 650주기 추모 학술발표회 개최(8/12, 시흥 추모재) ⊙ 은덕장학금 지급 및 연수교육 실시(8/12~8/14, 21명) ⊙ 양도공3대영월 안내판각 중수(8/29) ⊙ 순흥안씨제3파 종사 자료관 개관(9/1) ⊙ 고 이준박사 현창비 제막식 거행 -이수성 전 국무총리 등 다수 내빈 참석 ⊙ 낙산사 문정공시비 건립 및 제막식 거행(11/4, 종원 약 400명 참석) |
1999 |
⊙ 순흥안씨제3파의 종원 교육용 비디오 제작(1/8, 2,000개) ⊙ 잣나무 150그루 묘역에 이식(4/1) ⊙ 서초동 건물 매입: 건평 1,598.0㎡(483.4평), 대지 695.0㎡(210평) ⊙ 양도공 신도비 구반(龜盤)과 문숙공 신도비 용두 구반(龍頭 龜盤) 제작 건수(4/29) ⊙ 문정공 ⌜근재 안축선생의 生涯⌟ 2,000부 발간(7/8) ⊙ 99년도 은덕장학생 연수(7/9) ⊙ 속초 영랑호에 문정공 근재선생 시비 건립 및 제막식 거행(7/10) ⊙ 추원재 전사청(관리사 준공, 5/30) ⊙ 은덕학사 운영 전면 폐지(95.10부터 운영, 99. 12월말 폐지) |
2000 |
⊙ 장학금 전달(7/10, 9명) |
2001 |
⊙ 종회 운영이 일반사업자에서 법인사업자로 전환됨(1/1부터) -사업소득세가 40%에서 법인세율 28%로 조정됨 ⊙ 제13대 양동공파종회 회장에 갑준(甲濬) 취임 ⊙ 순흥안씨제3파 부녀회 발족(9/24) -향후 종회의 큰 행사시 제수장만, 식사 제공 등 봉사활동 실시 ⊙ 은덕장학금 지급 및 연수교육 실시(7/26, 8/7, 75명) ⊙ 문정공의 죽계별곡 시비(자연석) 6개 소수서원 공원에 건립 ⊙ 일본 돗토리현 가다야마 지사와 현의회 의장 등 일행 27명 종회 내방(4/12) 및 갑준회장 등 종원 5명 일본 답방(11/30~12/3) |
2002 |
⊙ 인터넷족보 편집 개시 ⊙ 용산 대지 및 건물 매각 ⊙ 봉천6동 대지 및 건물 매각 ⊙ 충북 괴산군 감물면 구월리 산88-1외 13필지 매각 ⊙ 제14대 양도공종회 회장에 교덕(敎德) 취임 ⊙ 장학금 및 축하금 지급(대학생 116명, 사법고시 학격자 4명) |
2003 |
⊙ 소윤공 행적비, 대사헌공 행적비, 상억 전회장 공덕비 건립 ⊙ 봉천11동 대지 및 건물 매각 ⊙ 부천 다성빌딩 매입 ⊙ 시흥동 산126-16 ~ 산126-26 (3,495.00㎡) 금천구청 수용 ⊙ 충남 홍성 결성에 정숙공 시비 건립 ⊙ 사이버 족보 추진(8/1) ⊙ 장학금 및 축하금 지급(대학생 113명, 사법고시 학격자 1명) |
2004 |
⊙ 인터넷 홈페이지 개설 ⊙ 국역 근재집 발간(제6간, 양도공파종회) ⊙ 안ㅇㅇ 상대로 위토(시흥동 산126-1외 7필지) 소유권 확인 청구 소송 제기 ⊙ 시흥동 56-1, 57, 57-1, 59, 59-1: 금천구청 수용 ⊙ 경북 봉화군 봉화읍 문단리 1031(답) 매각 ⊙ 장학금 지급 및 교육 실시(5/9) |
2005 |
⊙ 근재선생 문집(상윤(商閏)주관) 재발간 2,000부 ⊙ 제15대 양도공파종회 회장에 병주(秉柱) 취임 ⊙ 안ㅇㅇ 종회징계위원회에서 족보에서 제명 의결, 본인에게 통보(3/16) ⊙ 안ㅇㅇ 명도소송 1심에서 종회 승소 판결(6/9) ⊙ 안ㅇㅇ 고등법원 항소(6/29) ⊙ 서초동 대지 및 건물 매각 ⊙ 경북 봉화읍 문단리 422(전), 423(답), 423-1(도로) 매각 ⊙ 시흥동 808-6, 808-26 소재 건물 매각 ⊙ 장학금 지급 및 교육 실시(5/5) ⊙ 인구통계조사(순흥안씨 468,827명, 전국 15위) |
2006 |
⊙ 독산동 영진빌딩 매입 ⊙ 홍살문 재설치(2/2) ⊙ 봉화 봉모재 토지(봉화읍 문단리 398) 매각 ⊙ 태백산 근재 안축 선조 시비 건립 및 제막식 거행(11/15) ⊙ 장학금 지급 및 교육 실시(4/9) ⊙ 문숙공파 휘 훈(訓) 선조 행적비 제막식 거행(경기도 오산시) |
2007 |
⊙ 회양공, 참봉공, 용안공 선조 묘소 확장 보수 낙성식 거행(6/9) ⊙ 장학금 지급 및 교육 실시(6/10) ⊙ 국유재산 변상금 취소 처분 행정심판 청구(12/13) ⊙ 양도공파종회 사무실 확장 ⊙ 안ㅇㅇ 소송서류 접수(12/6) ⊙ 순흥안씨대종회 재건 ⊙ 영동 황간에 문숙공 시비 건립 및 제막식 거행(10/9) ⊙ 강당 보일러 공사 및 마루 교체(10/15) ⊙ 순흥안씨제3파 전자(인터넷)족보 완성 |
2008 |
⊙ 제16대 양도공파종회 회장에 필준 취임 ⊙ 국유지 원상복구 작업(2/25) ⊙ 감천군부인, 문간공 산소, 봉화에서 영주시 단산면 병산리로 이장(3/12) ⊙ 소유권 이전 소송(원고 안ㅇㅇ) 남부지방법원 1심판결 승소(3/14) ⊙ 소유권 이전 소송(원고 안ㅇㅇ) 고등법원 항소(5/14) ⊙ 소유권 이전 소송(원고 안ㅇㅇ) 고등법원 승소(8/20) ⊙ 소유권 이전 소송(원고 안ㅇㅇ) 대법원 승소 확정 판결(11/13) ⊙ 순흥 서창(단산면 병산리) 종토관리자 변경(3/19) ⊙ 장학금 지급 및 교육 실시(4/6) ⊙ 국유재산 변상금 취소 처분 행정심판 심의 기각(9/17) ⊙ 국유재산 변상금 부과 취소 청구 행정소송 제기(12/4) ⊙ 대전 뿌리공원 순흥안씨 유래비 설치(10/4) ⊙ 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리 194 토지(645.00㎡) 매입 ⊙ 경북 봉화군 봉화읍 문단리 산183(397.00㎡) 매각 |
2009 |
⊙ 장학금 지급 및 교육 실시(4/12) ⊙ 필준회장 서거, 숙준 부회장 회장 대행 취임(8/26) ⊙ 국유지 경계 휀스 설치 작업(11/7) ⊙ 순흥 서창 종토(공매된 안ㅇㅇ 지분) 좨주공에서 매입, 3파에 헌납(12/1) ⊙ 아래 토지 도로부지로 금천구청 수용 -시흥동 807-18, 808-6, 808-29 -시흥동 산126-7, 808-26, 808-41 ⊙ 시흥동 807-15, 808-23 토지 및 건물 주택공사 앞 매각 |
2010 |
⊙ 제17대 양도공파종회 회장에 숙준 취임(2/23) ⊙ 장학금 지급 및 교육 실시(4/11) ⊙ 시흥동 808-30, 808-32, 808-33(도로) 금천구청 수용 ⊙ 경북 봉화군 봉화읍 문단리 산156(298.00㎡) 매각 |
2011 |
⊙ 종회소개 “우리의 가문과 뿌리” CD제작(3/30) ⊙ 장학금 지급 및 교육 실시(4/16) ⊙ 종회보 창간호부터 9호까지 축쇄판 제작(6/24, 250부) ⊙ 중산 동준 전회장 송덕비 제막식(10/28) |
2012 |
⊙ 순흥안씨대감 출판기념회(7/6, 대종회) ⊙ 장학금 및 축하금 지급 및 교육 실시(4/28, 대학생 98명, 박사 및 고시합격자 4명) ⊙ 시흥동 산126-28(2,100㎡) 금천구청 소공원 조성 용지 수용 |
2013 |
⊙ 제18대 양도공파종회 회장에 계원 취임 ⊙ 좨주공 8세 덕봉공 휘 질 묘 이전(3/17) ⊙ 장학금 및 축하금 지급 및 교육 실시(4/27) |
2014 |
⊙ 근재 안축의 양심적 사대부 출간 지원(김동욱 교수) ⊙ 장학금·축하금 지급 및 교육 실시(4/12, 대학생 83명, 박사 5명) ⊙ 취우정 안관선생 실기 발간 기념회 개최(9/17) |
2015 |
⊙ 제19대 양도공파종회 회장에 일중 취임 ⊙ 『양심적 사대부 문정공 안축의 시』 서책 배포(1/29) ⊙ 장학금·축하금 지급 및 교육 실시(4/4, 대학생 102명, 박사/고시합격자 4명) ⊙ 영모암(1파조 휘 영유 재실) 중건 준공식 거행(11/3) ⊙ 백송재사(2파 8세 휘 준) 중건 준공식 거행(11/14) ⊙ 양도공 3대묘역 문화재탐방 연간 3,000명 돌파 |
2016 |
⊙ 매봉 안병찬 자문위원 송덕비 건수식 거행(3/30) ⊙ 안충준 자문위원 함경북도지사 취임 ⊙ 장학금·축하금 지급 및 교육 실시(대학생 74명, 박사/고시합격자 2명) ⊙ 안바울 유도선수 제31회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은메달 획득 축하 및 격려 |
2017 |
⊙ 을민 안갑준 전 국회의원 송덕비 건수(8/20) ⊙ 취우정사 중수식 거행(9/16) ⊙ 일석 안상일회장 송덕비 제막식 거행(9/16) ⊙ 장학금 지급 및 교육 실시(78명) ⊙ 인터넷홈페이지 개편 및 휴대폰 접속 가능화 ⊙ 장부 미등재 토지(도로) 7필지(433.60㎡) 발견 -시흥동 808-7, 808-18, 808-31, 812-3, 812-11, 812-31, 849-27 |
2018 |
⊙ 제20대 양도공파종회 회장에 광선 취임 ⊙ 장학금·축하금 지급 및 교육 실시(4/6, 대학생 69명, 박사 2명) ⊙ 문화재 안내장(리플렛) 발간: 5,000부 ⊙ 근재 관동와주 고서 “KBS진품명품“에 방영(개인소장, 국보급문화재, 감정평가액 1억원) |
2019 |
⊙ 양도공3대묘역 봉토 및 잔디 개보수 ⊙ 장학금·축하금 지급 및 교육 실시(대학생 92명, 박사 4명) ⊙ 속초 영랑호, 양양 낙산사 문정공 시비 점검(5/21) ⊙ 소수서원 세계문화유산 등재 고유제 및 선포식 개최 참석(9/20) ⊙ 안덕주 대종회장 취임인사 부조묘 고유제 봉행 및 안봉락 부회장 헌관기념 식수(10/1) ⊙ <함안의 인물과 학문, 취우정 안관선생과 그 후예> 학술대회 개최(12/6, 함안군문화원 주최) ⊙ 장부 미등재 토지(도로) 7필지(433.60㎡)에 대하여 서울특별시 및 금천구청앞 부당이득반환 등 청구 소송 제기(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평안) |
2020 |
⊙ 신암서원 신암공원 표지석 제막시 거행(5/24) ⊙ 무첨재 관리사 중건 및 사과공파 5백년사 출간 기념회 개최(11/11) ⊙ 장학금·축하금 지급 및 교육 실시(대학생 82명, 박사 2명) ⊙ 장부 미등재 토지(도로) 4필지(288.70㎡) 추가 발견 -시흥동 806-11, 806-23, 812-39, 813-65 ⊙ 서울특별시 및 금천구청앞 제기한 장부 미등재 토지(도로) 7필지(433.60㎡)에 대한 부당이득반환 등 청구 소송은 다음 사유로 피고인과 화해 결정 -주요 쟁점인 일반 공중의 통행을 위한 자발적인 도로 제공이 아님을 입증하기 어려움 -소송을 계속 진행 시 상대방 주장 여부에 따라 토지(도로)의 소유권을 상실할 위험이 존재하고 패소 판결 시 상대방의 소송관련비용을 종회가 부담해야 할 우려도 있음 -소 취하로 종결되는 경우 종회는 추후 입증가능성 등 상황의 변화가 있는 경우 다시 소송을 제기할 수 있음 |
2021 |
⊙ 양도공서거 600주년 기신제 봉행 ⊙ 제21대 양도공파종회 회장에 병주 취임 |